15년 전, 취업을 준비하던 주변 지인들은 연봉 3,000만 원을 받으면,
"고민할 필요 없이 무조건 입사한다"라고 말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그 당시에는 이 정도 연봉이 대다수 취업준비생에게 희망 연봉이었죠.
하지만, 시간이 흘러 기대 연봉 수준이 크게 달라지고 있습니다.
신입사원이었던 첫 직장에서 있었던 에피소드가 떠오릅니다.
첫 해 계약 연봉이 3,000만 원 초반이었고, 계약서에 사인할 때 가졌던 뿌듯함보다는
"3개월 수습 기간 동안 받았던 첫 월급이 세후 100만 원이 안된다"라고 푸념하던 게 아직도 기억납니다.
2025년 공공기관 신입사원 연봉은?
2025년 공공기관 채용정보 박람회에 따르면,
공공기관 신입사원의 평균 연봉은 3,961만 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 중에서 신입사원 초봉이 가장 높은 기관은 중소기업은행으로,
5,466만 원이고 세전 기준으로 월 약 450만 원에 해당합니다.
공공기관 신입사원의 평균 연봉인 3,961만 원은
약 15년 전 신입사원들의 기대 연봉보다 1,000만 원 높은 수준입니다.
이 정도 연봉이면 요즘 신입사원들은 만족할까요?
순위 | 기관명 | 신압사원 연봉 (단위: 만 원) |
1 | 중소기업은행 | 5,466 |
2 | 신용보증기금 | 5,220 |
3 | 한국연구재단 | 5,135 |
4 | 기술보증기금 | 5,093 |
5 | 한국산업은행 | 5,000 |
6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4,980 |
7 | 한국수출입은행 | 4,967 |
8 | 인천국제공항공사 | 4,894 |
9 | 한국해양진흥공사 | 4,860 |
10 | 한국가스공사 | 4,800 |
※ 출처: 2025 공공기관 채용정보 박람회 디렉터리북, 자료분석: 인크루트
2025년 9급 1호봉 공무원 연봉은?
2024년 9급 1호봉 공무원의 연봉은 약 3,010만 원,
수당을 포함하면 월평균 약 251만 원이었습니다.
지난해 공무원 노조는 기본급 월 31만 3000원 정액 인상 등을
요구하며 임금 인상 투쟁을 벌였고,
그 결과 2025년에는 9급 초임 월급은 7.1% 인상되었습니다.
2025년 9급 초임 봉급이 처음으로 200만 원을 넘었고,
월급과 수당을 합쳐 월평균 약 267만 원으로, 연봉은 약 3,208만 원입니다.
15년 전, 제 첫 직장의 첫 해 계약 연봉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생활비와 주거비를 포함한 전반적인 물가 상승을 고려하면,
체감되는 연봉은 감소한 것처럼 느껴집니다.
요즘 비트코인과 미국 주식과 같은 자산으로 돈이 몰리는 현상이 어쩌면 자연스러운 결과라는 생각이 듭니다.
여러분은 신입사원의 적정 연봉 수준이 어느 정도가 적절하다고 생각하시나요?
'자산더하기 >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봉 1억 vs 연봉7천 + 재테크 수익 3천, 누가 더 만족스러울까? (3) | 2025.01.19 |
---|---|
자동차세연납하면 세액공제 얼마 받을까? (2) | 2025.01.19 |
연말정산 모의계산, 예상환급 608만원 알아보기 (2) | 2025.01.17 |
연말정산기간, 연말정산미리보기, 2025 놓치면 후회할 팁! (1) | 2025.01.13 |
신생아 특례 대출 조건, 금리, 대환 -2025년(전세대출) (0) | 2025.01.12 |
댓글